4월 8일까지 피해 유형·선호 지원 정책 등 21문항

전남에선 2월 말 현재 979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으며 이 중 685건이 전세사기로 인정됐다.
전세사기 피해자 대부분은 사회 초년생, 청년, 신혼부부 등 사회적 약자로 이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예방 대책이 절실하다.
이에 전남도주거복지센터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피해자 맞춤형 법률·금융·주거·행정의 원스톱 지원방안 도입 검토 △국토교통부 및 전남도의 전세사기 예방 및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찾아가는 주거복지센터 운영 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에서 진행된다.
피해 유형 및 피해 금액 등 기본 정보, 법률·금융·주거·행정 지원 등 선호하는 지원정책, 찾아가는 주거복지센터 서비스 선호도 등을 포함한 총 21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전남도주거복지센터는 전남도 토지관리과와 협력해 청년층 대상으로 전세사기 예방 교육을 실시 중이다.
교육에선 주택도시보증공사 전문 강사를 초청해 △전세사기의 개념과 유형 △전세계약 시 주의사항 및 예방 방법 △전세사기 주요 피해 사례 △전세사기 피해 발생 시 대처 방법 등을 안내한다.
목포대, 동신대, 세한대에서 약 400명의 청년이 교육에 참여했으며 4월에는 광양, 순천, 여수 등 동부권 대학 3곳에서 추가 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다.
곽춘섭 전남도주거복지센터장은 “전세사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피해 사례와 수요를 반영한 실질적 지원정책이 중요하다”며 “전남도와 협력해 사전 예방과 피해자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 또는 주거복지 관련 상담이 필요한 경우, 주거복지센터 대표번호로 문의하거나 직접 방문하면 된다.
전남도주거복지센터는 지난해 9월 개소해 전남개발공사가 위탁 운영 중이다.
주거복지센터는 전세사기 피해자 생활안정자금 지원, 전세사기 피해 상담, 주거취약계층 주거복지 상담 및 정보 제공, 전남형 만원주택 운영·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광주전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